소개
“AI Ready Enterprise Database from Ground to Cloud”
8/23일 전후로 RC 0가 발표되었네요, 정식 버전도 얼릉 발표되길 기대해봅니다 😀
SQL Server 2025의 새로운 기능들을 개별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우선 개괄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리뷰를 하겠습니다.
타이틀이 의미하듯이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에 걸쳐 AI를 지원하는 Enterprise Database로서의 SQL Server 2025의 새로운 기능들을 범주별로 나누고 주요 기능들을 목록화해서 간단한 설명만 먼저 정리하고 더불어 MS 문서 중 개요에 해당하는 자료들도 소개하겠습니다. 이후 올리게 될 글에 대한 링크도 차후 연결해서 이 글이 일종의 머리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생각입니다.
자, 그럼 우선 간략하게 살펴볼까요?
SQL Server 2025의 새로운 기능 중 다룰 범주
아래 5가지 범주로 나누어서 새로운 기능과 변화들을 다루겠습니다. 제가 다루지 않는 주제 혹은 전반적인 소개에 대해서는 MS 문서 “SQL Server 2025의 새로운 기능 미리보기“를 참조하세요.
- AI 통합
- 개발자 생산성
- 보안
- 미션 크리티컬 데이터베이스 엔진
- 기타
1. AI 통합
AI App 개발, RAG, AI Agent 등을 위한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필요한 기능들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있는 Hot Feature입니다^^
2. 개발자 생산성
개발자의 1순위 요구 사항이었던 JSON 데이터 형식을 포함해서 개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흥미로운 기능들이 지원됩니다.
- SS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 21의 새로운 기능 및 Copliot 지원 (개인적으로 무지 고대하고 있던^^)
- 새 Python 드라이버: 비동기 연결 지원, 개발 단순화, 성능 향상
- Standard Developer Edition: 운영 SQL Server Standard Edition과 동일한 환경에서 개발 및 테스트 지원
- JSON 데이터 형식 및 집계 함수
- 정규식(RegEx)
- 외부 REST Endpoint 호출 (이 기능은 AI 통합 부분에서도 다루어야겠습니다)
- 이벤트 스트리밍(CES) 변경
- 새 T-SQL 함수
- 새 중국어 데이터 정렬: GB18030-2022 데이터 정렬 표준지원
3. 보안
데이터 보호, 인증 및 암호화 기능을 향상시키는 고급 보안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
- Azure Arc에서 사용하는 Managed ID 인증 지원
- 더 강력해진 암호화: OAEP(최적 비대칭 암호화 패딩)를 사용, 인증서 또는 비대칭 키로 암호화
- 더 강력해진 비밀번호 암호화: 사용자 암호 저장을 위해 RFC2898 사용
- 엄격한 DB 연결 암호화: TDS 8.0 지원 및 TLS 1.3 구현
- 최적화된 보안 캐시
4. 미션 크리티컬 데이터베이스 엔진
성능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기능이 도입 또는 개선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기능들이 많이 포함되었습니다^^
- (조건) 식에 대한 CE(카디널리티 추정) 피드백
- 선택적 매개변수 계획 최적화 (OPPO, Optional Parameter Plan Optimization)
- 차단과 잠금 승격을 피하고 잠금 메모리 사용을 줄여주는 Optimized Locking
- 배치 모드 처리 향상 및 Coumnstore Index 향상
- 읽기 가능 보조 복제본에서 쿼리 저장소 사용 시 모니터링 및 조정 가능
- 읽기 가능 보조 복제본용 Persisted temporary statistics를 주 서버에 저장해서 재 생성 부하로 인한 성능 저하 해결
- 쿼리 후속 실행을 차단하는 새로운 쿼리 힌트
- tempdb 용량 소비를 줄이고 데이터 변경 쿼리의 성능 향상시키는 Optimized Halloween Protection
- 리소스 관리자(Resource Governor)에서 tempdb 사용량 제어 지원
- tempdb에 가속 데이베이스 복구지원
- 새로운 압축 백업 알고리즘, ZSTD 지원
- 그 외 여러가지
5. 기타
그 외에도 관심이 가는 변화들입니다. 아래 내용은 자료와 분량에 따라 하나의 글로 같이 다루겠습니다.
- 기존 PolyBase 쿼리 없이 OPENROWSET, CREATE EXTERNAL TABLE 명령으로 CSV, Parquet, Delta 파일 쿼리 지원
- Linux 용 SQL Server에서 tempdb용으로 메모리를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tmpfs 파일 시스템 지원
- Linux 용 SQL Server에서 PolyBase로 ODBC 데이터 원본 연결 지원
- 그 외 여러가지
정리
SQL Server 2025에도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부분에 관심이 가는지요? 온/오프라인에서 함께 얘기 나눌 수 있는 자리와 시간이 많기를 고대해봅니다. 저도 틈틈이 준비하겠습니다.
그럼, 건강하세요~
김정선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