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Server News/Informations

SQL Server 2022-07-Optimized Plan Forcing

소개 사견으로 시작합니다, SQL Server 버전이 올라가면서 Query Optimizing에도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달리 말해서 Query Optimizer 루틴이 더 길어지고 절차가 더 복잡해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쿼리 최적화 기능의 향상에 도움이 되겠지만 반대로 최적화의 복잡도를 증가시키면서 쿼리 컴파일 부하나 시간이 커지는 부작용도 동반될 것입니다, 오랜 경험을 통한 사견이므로 가볍게 받아주세요^^ SQL Server로 서비스되는 DB 서버가 대형화되고(CPU 수백…

SQL Server 2022-06-Parameter Sensitive Plan Optimization

소개 SQL Server 2022에서 가장 핫한 기능이 바로 이제 살펴볼 Parameter Sensitive Plan(PSP) Optimization 일 겁니다. SQL Server 기반으로 개발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저장 프로시저(또는 매개변수 쿼리도 마찬가지)를 많이 사용하고 그로 인해 경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쿼리 성능 이슈인 Parameter Sniffing 동작이 있습니다. 이 동작이 좋지 않은 프로시저 시나리오를 만나면 성능 문제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

SQL Server 2022-05-Degree of Parallelism Feedback

소개 Feedback 의 마지막 기능입니다. Query Optimizing에서 Degree Of Parallelism(DOP)이 무엇이고 쿼리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SQL Server 2022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참고. 아쉽지만 Feedback 기능들은 Enterprise Edition에서 지원됩니다. Degree of Parallelism(DOP) 병렬쿼리 한 쿼리를 실행할 때 CPU를 두 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병렬쿼리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실행 계획의 각 연산자 아이콘의…

SQL Server 2022-04-Cardinality Estimation Feedback

소개 지난 글 Memory Grant Feedback에 이어서 두 번째 Feedback 기능입니다. Query Optimizing에서 Cardinality Estimation이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것이 쿼리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그리고 SQL Server 2022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참고. CE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는 MS 문서 “Cardinality Estimation (SQLServer)“를 참조하세요.   참고. 아쉽지만 이 기능도 현재 Enterprise Edition에서 지원됩니다.…

SQL Server 2022-03-Memory Grant Feedback

소개 SQL Server Query Optimizer의 새로운 진보를 나타내는 것이 2017부터 적용된 “Intelligent Query Processing(IQP) and Database“, 그 중심에 있는 기능 이 “Adaptive Query Processing“이라 생각합니다. “Adaptive” 라는 영어를 조금 더 과장하면 아마도 “Auto Tuning”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범위에 들어간다고도 생각되어지네요. 이제부터 IQP의 세부 기능들을 하나씩 소개하겠습니다. 그 첫 번째가 “Memory Grant Feedback“입니다.   참고. Feedback…

SQL Server 2022-02-새로운 기능, 머리글

소개 SQL Server 2022의 새로운 기능들을 개별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우선 개괄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리뷰를 하겠습니다. 새로운 기능들을 범주별로 나누고 주요 기능들을 목록화해서 간단한 설명만 먼저 정리하고 더불어 MS 문서 중 개요에 해당하는 자료들도 소개하겠습니다. 이후 올리게 될 글에 대한 링크도 차후 연결해서 이 글이 일종의 머리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생각입니다. 자, 그럼 우선 간략하게 살펴볼까요?…

SQL Server 2022-01-설치 작업 변화

소개 지난 번 SQL PASS Korea 오프라인 세미나 때 소개 드린 SQL Server 2022의 Intelligent Query Processing을 포함해서 시리즈 글을 올릴 계획입니다. 그 시작 글로써 설치 화면에서 이전 버전과 달라진 부분 즉 없어지거나 새로운 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더불어 관련 문서들을 소개하겠습니다. SQL Server 2022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나 신규 도입할 사용자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참고. 일부 내용은…

Microsoft Azure의 Data 관련 인증(시험)

Azure 인증(시험) 소개 작년(2020)부터 Azure SQL Managed Instance(혹은 Database) 환경에서 SQLBigEyes 솔루션의 지원 여부나 컨설팅 문의가 조금씩 있어왔습니다. 거기에 더해 최근엔 Azure Database 강의 문의도 있었습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Azure Database 특히 SQL Server 서비스에 대한 스터디의 필요성을 느껴 조금씩 준비를 하고 있었고 특히 올해는 Azure와 Azure SQL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준비하고자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 결과물로…

쿼리 병렬처리 대기 유형 분리 – CXCONSUMER

OLTP 쿼리만 사용되는 순수 OLTP 시스템이 아니라면 ERP, GW, MES, EMR 등의 대부분의 업무시스템들은 OLAP성 쿼리들(예를 들어 통계/집계성)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쿼리가 병렬로 처리되는 경우는 일상적으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쿼리 실행 시 다양한 형태의 리소스 대기(예를 들어 잠금, I/O 등)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병렬연산에서 대기가 발생하는 경우 나타나는 리소스 대기 이름이 “CXPACKET”이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 SQL Server…

이젠 서비스팩이 아니라 누적업데이트입니다

이젠 서비스팩이 아니라 누적업데이트입니다 SQL Server 2008의 EOS(End Of Support/Service)로 인해 최근 SQL Server 2019나 2017로 업그레이드하는 고객 시스템이 많아졌고 컨설팅 요청과 지원도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변경된 기술 관련 소식을 처음 듣게 되는 고객들도 많이 보게 됩니다 그 중요한 변경 사항 중 하나가 바로 제품 패치 서비스 정책과 방식에 대한 변화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